ASC 제어기
CABAL WIKI
이 문서의 승인한 판은 최신 판입니다.
이 문서는 카발 온라인 세계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1.개요
ASC 제어기는 ASC의 힘을 자격 이상으로 다루기 위해서 개발된 장치이다.
ASC는 소유자의 자격을 평가하고 등급을 나누어 차등적으로 힘을 부여한다.
그 평가를 우회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ASC 제어기다.
2.개발
ASC 제어기의 제작자는 1기 문명의 마지막 황제였다. 황제는 뛰어난 능력을 가졌으나 만족할 줄을 몰랐고 ASC의 금지된 지식을 통해 강력한 병기를 제작하려고 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선 ASC가 평가한 등급보다 높은 등급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황제는 가진 능력을 총동원해서 ASC 제어기를 제작한다.
ASC 제어기의 주된 효과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막대한 에너지를 끌어와서 ASC가 요구하는 자격을 우회적으로 넘어가는 것, 잘못된 접근에 대한 반발력을 주변으로 돌리는 것이다.
다만 ASC 제어기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충당하기 위해선 단순한 생명체의 죽음 정도가 아니라 지성체의 영혼이 파괴-소멸될 때 발생하는 에너지가 필요했다.
이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실험으로 소멸했으나 황제는 원하던 힘을 얻었다.
3.1기 문명의 멸망
1기 문명 멸망의 직접적인 원인은 제국의 내란에서 최종 병기를 사용했기 때문이었다.
황제는 전쟁의 막바지, ASC 제어기를 한계 출력 이상으로 사용하다가 폭주시키고 만다. 황제는 그것을 통제할 방법이 없었고, 폭주의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강제로 아공간에 집어넣고 차단시켰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ASC 제어기의 폭주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폭주한 ASC 제어기의 힘은 공간을 찢고 나왔고 그 여파로 대륙이 가라앉았으며 ASC를 오용한 대가로 인해 제국 수도의 일정 반경 내의 생명체들은 불사의 저주를 받고 강제로 ASC에 종속, 언데드 클랜이 되어버렸다.
이후 ASC 제어기는 3기 문명 시대, 아너러블 에이지에 발견되어 파우스트의 손에 들어오게 된다.
4.3기 문명에서 발견
당시 3기 문명에는 1,2기 문명에 대한 정보가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 그저 이능력에 대한 전승으로만 남아있었을 뿐이다. 프로메테우스는 파우스트가 이에 대해 연구하도록 유도하였다. 호기심이 강했던 파우스트는 그들에게 지원을 받아 1기 문명의 유적을 연구하였다.
그 과정에서 파우스트는 정말 1기 문명이 실존했다는 사실, 그리고 그들의 유산과 멸망에 대한 기록을 얻었다. ASC의 위험성은 즉시 극비에 붙여졌고 파우스트와 프로메테우스만이 이 사실을 파악했다.
하지만 문명의 멸망에 ASC와 그를 이용한 최종 병기가 관련되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은 파우스트는 연구를 지원한 프로메테우스에게 마저 ASC 제어기에 접근하는 방법을 숨겼다.
파우스트는 ASC 제어기를 파괴하려고 했지만 불가능했고, 원래 있던 곳에 봉인했다.
하지만 대파괴 기간 동안 자기 자신을 봉인하기 위해서 ASC 제어기를 꺼내쓸 수 밖에 없었다. ASC 제어기는 파우스트와 함께 아공간 속에 봉인되었다.
천 년 뒤, 벌어질 그 사건 때까지.
4.천 년 후
프로메테우스 역시 대파괴에서 상당한 피해를 입었지만 그 조직은 생존자들과 함께 살아남았다. 그들은 4기 문명 속에서도 암약하며 새로운 마왕의 후보자 탄생과 ASC에 대한 연구를 이어나갔다.
프로메테우스는 파우스트의 클론 실험체를 만들어서 마왕의 탄생에 대해 연구했다. 그러던 중 파우스트의 클론인 페이트런에게 심어진 ASC의 일곱 번째 조각이 무언가의 파장에 미약하게 반응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이상함을 느낀 프로메테우스는 즉시 조사에 나섰다. ASC는 단순한 권능과 능력의 상징뿐 아니라 막대한 정보의 기록 매체였고 조각난 상태에서도 강한 힘을 지니고 있었다. 그런 ASC에 반응하는 존재는 ASC와 관련된 것일 수 밖에 없었다.
조사 결과 프로메테우스는 ASC 제어기의 존재를 알아냈다. 그들은 ASC 제어기가 현자와 마왕의 유산이며 ASC를 통제할 수단이라는 것까지 파악했다. 하지만 그들은 ASC 제어기의 위치까지는 알아내지 못했다. 프로메테우스는 세상을 지배한다는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그 수색에 나서기 시작했다.
이 문서는 카발 온라인 세계관 기반 문서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카발 온라인 세계관을 참고해주세요.